반응형

어음할인(手形割引, Note Discounting)은 기업이 만기일 이전에 받은 어음(받을어음)을 은행 등 금융기관에 넘겨서 현금을 조기 수취하는 거래입니다.
이때 은행은 할인이자를 공제한 후 나머지 금액을 지급하며, 이는 기업 입장에서 금융비용(이자 비용)이 발생하는 것으로 처리됩니다.


✅ 어음할인의 개념 요약

항목 설명
📌 목적 현금 확보 (유동성 확보)
📌 대상 어음 외상매출채권으로 받은
받을어음
📌 할인기관 은행, 할인전문회사 등
📌 할인이자 은행이 공제하는 금액 → 기업의
이자비용
(금융비용)
📌 책임 여부 소급할인
(소급권 있음) vs
무소급할인
(소급권 없음)

✅ 어음할인의 유형

구분 소급할인 (WITH RECOURSE) 무소급할인 (WITHOUT RECOURSE)
책임 어음이 부도나면 기업이 다시 돈 갚아야 함 부도 시 금융기관이 책임
회계처리 자산의
양도 아님
, 차입으로 간주
자산의
실질적 양도
일반성 대부분의 어음할인은 이 유형 드물며, 할인료 높음

🔹 대부분의 경우 → 소급할인으로 처리 (회계상 조건부부채 또는 차입)


✅ 어음할인의 분개 예시 (소급할인 기준)

📌 가정 상황

  • A회사가 고객으로부터 1,000만 원 어음 수취 (만기: 3개월 후)
  • 보유 1개월 후 은행에 할인 → 할인율 연 12%
  • 할인기간: 2개월 (60일)
  • 소급할인 (부도 시 책임)

① 어음 수취 시 (처음)

차변: 받을어음 10,000,000
  대변: 외상매출금 10,000,000


② 어음할인 시 (은행에 어음 제시)

🔹 할인이자 계산:

  • 할인이자 = 10,000,000 × 12% × (60/360) = 200,000원
  • 은행 지급액 = 10,000,000 - 200,000 = 9,800,000원

차변: 현금 또는 당좌예금 9,800,000
차변: 할인손익 (이자비용) 200,000
  대변: 어음할인계정 (또는 단기차입금) 10,000,000

또는 일부 기업은 "어음할인계정" 으로 처리하지 않고,
단기차입금으로 처리하기도 함 → 소급할인이므로 부채 성격


③ 만기일에 어음 정상 지급 (부도 아님)

차변: 어음할인계정 (또는 단기차입금) 10,000,000
  대변: 받을어음 10,000,000

✅ 어음이 정상 지급되면, 받을어음과 부채가 상계


④ 만약 어음이 부도 → A회사가 은행에 갚아야 함

(이미 은행이 고객에게 돈을 돌려받지 못함)

차변: 외상매출금 (또는 부도어음) 10,000,000
  대변: 현금 또는 당좌예금 10,000,000

🔁 이후 A회사는 어음 발행자(고객)에게 채권 추심


✅ 무소급할인의 분개 (자산양도 기준)

분개:

차변: 현금 9,800,000
차변: 할인손익 (이자비용) 200,000
  대변: 받을어음 10,000,000

✅ 이 경우 부채 없음 → 어음 위험과 통제가 완전히 이전되었으므로 자산양도 처리


✅ 재무제표상 처리

계정 위치 설명
어음할인계정 / 단기차입금 재무상태표 - 유동부채 소급할인 시 부채로 인식
할인손익 (이자비용) 손익계산서 - 영업외비용 금융비용으로 처리
현금 유입 현금흐름표 - 영업활동 (소급할인 시) 또는 재무활동 (차입 성격 강하면)

🔹 K-IFRS 기준: 소급할인은 실질적 차입으로 보아 재무활동 현금유입으로 처리 가능


✅ 요약: 어음할인의 핵심 포인트

항목 내용
🎯 목적 현금 유동성 확보
💸 할인이자 이자비용 (영업외비용)
📉 회계처리 소급할인 → 부채 인식 / 무소급 → 자산양도
📊 재무제표 받을어음 감소, 현금 증가, 이자비용 발생
⚠️ 주의 부도 시 책임 여부 확인 필수 (소급권 유무)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