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포괄손익계산서는 일정 기간 동안 기업의 경영 성과를 종합적으로 보여주는 재무보고서입니다. 기존의 손익계산서에 나타나지 않는 항목들, 즉 '기타포괄손익'을 추가하여 기업의 총포괄이익을 계산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포괄손익계산서 작성 목적

전통적인 손익계산서는 기업의 영업활동에서 발생한 이익(당기순이익)만을 보여줍니다. 하지만 기업의 자본이 변동하는 모든 요인을 완전하게 반영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보유하고 있는 금융자산의 공정가치 변동으로 인한 평가이익은 자본에 직접 가감되지만, 당기순이익에는 포함되지 않아 기업 성과를 온전히 보여주지 못했습니다.

포괄손익계산서는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도입되었으며, 기업의 재무 성과를 보다 포괄적이고 투명하게 보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투자자들은 이를 통해 기업의 잠재적인 성과비경상적 요인에 의한 이익 변동을 더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포괄손익계산서의 주요 구성요소

포괄손익계산서는 크게 **'당기순이익'**과 '기타포괄손익' 두 부분으로 구성됩니다.

1. 당기순이익 (Net Income)

우리가 흔히 아는 손익계산서의 최종 결과물입니다. 수익에서 모든 비용(매출원가, 판매비와 관리비, 기타 비용 등)을 차감하여 계산합니다. 이는 기업의 주요 영업활동에서 발생한 이익을 나타냅니다.

매출액
- 매출원가
= 매출총이익
- 판매비와 관리비
= 영업이익
+ 영업외수익
- 영업외비용
= 법인세차감전순이익
- 법인세비용
= 당기순이익

2. 기타포괄손익 (Other Comprehensive Income, OCI)

당기순이익에는 포함되지 않지만, 기업의 자본을 변동시키는 손익 항목들입니다. 이러한 항목들은 당기순이익을 왜곡시키지 않으면서도 기업 가치 변동을 반영하는 중요한 정보로 간주됩니다.

  • 매도가능금융자산평가손익: 주식 등 매도가능금융자산의 공정가치 변동으로 인한 평가손익
  • 재평가잉여금: 토지, 건물 등 유형자산의 공정가치 상승분
  • 해외사업환산손익: 해외 자회사의 재무제표를 환산하면서 발생하는 환율 변동 손익
  • 현금흐름위험회피회계 관련 손익

3. 총포괄손익 (Total Comprehensive Income)

당기순이익에 기타포괄손익을 더한 금액입니다. 이는 기업의 포괄적인 경영 성과를 보여주는 최종적인 지표입니다.

총포괄손익 = 당기순이익 + 기타포괄손익


포괄손익계산서의 작성 방법

국제회계기준(IFRS)에서는 포괄손익계산서를 작성할 때 두 가지 방식을 허용합니다.

  1. 단일 재무제표 방식: 하나의 표에 **'당기순이익'**과 **'기타포괄손익'**을 모두 표시하여 최종적으로 **'총포괄손익'**을 보여주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이 더 직관적이어서 많이 사용됩니다.
  2. 두 개의 재무제표 방식: 전통적인 **'손익계산서'**를 먼저 작성하여 당기순이익을 산출하고, 이어서 **'포괄손익계산서'**를 별도로 작성하여 기타포괄손익을 포함시키는 방식입니다. 이 경우 포괄손익계산서의 시작점은 손익계산서의 최종 결과인 당기순이익이 됩니다.

포괄손익계산서는 기업의 잠재적 가치미래 성과를 예측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므로, 재무제표 분석 시 반드시 당기순이익뿐만 아니라 기타포괄손익 항목까지 함께 살펴봐야 합니다.

 

 
반응형

'회계 > 재무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가상각된 유형자산을 처분할 때의 분개  (0) 2025.09.01
재무회계 핵심 개념 정리  (0) 2025.09.01
특수회계  (0) 2025.08.29
주석에 담기는 정보  (0) 2025.08.28
주주 관점에서 보는 자본변동표  (0) 2025.08.28

+ Recent posts